본문 바로가기

【 각종 정보방 】/◆여행, 산행, 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 누구냐, 넌

반응형

 

'미러리스 카메라'. 요즘 잘나가는 카메라 무리를 부르는 이름이다.

영어 mirrorless는 '거울 없는'이라는 말이다. 이상한 이름 짓기다.

거울이란 수동식 카메라 내부의 반사경을 말하는 것이다.

일부러 수동식 카메라와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게다가 거울 없는 카메라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있었으니, 이 이름은 지금의 카메라들을 완전하게 정의하지도 못한다.

4050 이전 세대들이 어릴 적 나들이 갈 때 사용하던 소형 필름카메라에도 거울은 없었으니까.

정확한 이름은 '미러리스 렌즈교환식 카메라'다. 하지만 모두들 '미러리스'라고 부른다.

누가 먼저 그렇게 불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모두 그 이름에 동의한 듯하다.

어쩌면 사람들은 '미러리스'를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이름에는 어떤 주장과 기대가 담겨 있다.

 

다게르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사진의 특허권을 인정받은 1839년을 사진의 시작이라고 부른다.

 이때 카메라는 한쪽에는 렌즈가, 한쪽에는 감광판이 놓인 커다란 나무 상자였다.

사진 한 장을 찍을 때마다 감광판을 교체하는 일은 불편했다. 크기와 무게도 부담스러웠다.

1888년 조지 이스트먼이 최초로 롤 필름을 이용한 소형 카메라를 만들었다. 그 이름이 코닥이다.

1920년대 휼륭한 렌즈들의 개발과 함께 소형 카메라의 완성도도 향상됐다.

 기본 형태는 소풍 때 들고 다니던 카메라와 같다.

촬영하는 눈(렌즈)과 찍는 사람이 구도를 맞추는 눈(뷰파인더)이 따로 있었다.

 눈으로 보는 것과 사진으로 찍히는 것이 완전히 같지 않은 것이 단점이었다.

카메라의 연구는 눈으로 보는 것과 사진으로 찍히는 것이 같아지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먼저 렌즈를 아래위로 두 개 달고, 위쪽 렌즈 뒤에는 거울을 비스듬하게 배치한 카메라가 나왔다.

 카메라 바디 위에서 거울에 비친 상을 보고 구도와 초점을 맞췄다.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같도록 만들었다.

 이 구조의 단점은 카메라가 무겁다는 점이었다. 렌즈를 하나로 줄여야 했다.

카메라 구조가 개선됐다. 렌즈가 하나로 줄었고, 거울이 더 중요해졌다.

하나의 렌즈에 잡힌 세상을 거울로 반사해 보다가 사진을 찍는 순간 거울이 철컥 접혀 올라가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렌즈가 두 개였던 앞의 카메라를 이안반사식이라고 불렀고,

하나의 렌즈를 사용한 카메라를 일안반사식 카메라라고 불렀다.

Single Lens Reflex, 줄여서 SLR이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렌즈 하나에 비친 세상을 거울로 반사해서 보며 찍는 카메라라는 뜻이다.

1990년대 디지털화가 시작됐다. 소형 카메라와 SLR도 변화를 맞았다.

소형 디카는 바디 뒤에 모니터가 생기고, 대신 눈으로 보는 구멍(뷰파인더)은 사라졌다.

모니터의 출현은 또 하나의 작은 혁신이었다.

일안반사식 SLR 카메라와 디지털 센서가 결합해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가 탄생했다.

디지털시대를 맞아 카메라는 일상의 휴대품이 됐다.

 카메라는 더 작고 더 간편할 것, 그리고 더 잘 찍힐 것을 요구받았다.

휴대폰 카메라 때문에 더 그랬다.

그 때 미러리스 카메라가 나타난다. 잡종교배형 카메라다.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소형 디카라 볼 수도 있고,

미러를 없애고 전자식 파인더를 갖춘 DSLR로 볼 수도 있다.

우선 SLR카메라의 거울을 없애버렸다.

거울 위쪽에 붙은 프리즘(거울을 통해 뒤집힌 상을 다시 뒤집어주는 '무거운' 유리덩어리)도 사라졌다.

 대신 소형 디카처럼 센서에서 나온 전기 신호를 곧바로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만들었다.

 그리고 사용자를 편하게 하는 소형 디카의 기능이 대거 탑재됐다.

과연 이 잡종은 진화한 소형 디카일까? DSLR의 변종 일까?

 '미러리스'라는 이름은 자신이 DSLR로부터 변화된 구조라고 주장한다.

소형 디카가 아니라 DSLR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DSLR만큼 '훌륭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편리한' 카메라라고 말한다.

 

 

 

 



웬만한 편의 기능은 소형 디카의 것을 다 물려받았으면서, DSLR의 후손임을 주장하려면 화질이 좋아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은 무엇보다 이미지 센서의 크기에 달려 있다.

현재 미러리스 카메라들이 사용하는 이미지센서는 소형 디카에서 사용하던 것보다 5~8배 정도 크다.

렌즈를 마음대로 바꿔 끼울 수 있다는 점도 DSLR에게서 물려받은 우성 유전자다.

하지만 뭔가가 아쉽다. 이미지 센서의 크기는 전문가용 DSLR에 비교하면 절반에 못 미친다.

정해진 센서 크기에서 화소 수 경쟁을 하다 보니 화질은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DSLR이 가진 그 모든 훌륭한 렌즈들을 사용할 수 있는가도 따져봐야 한다.

새로운 카메라는 언제나 앞선 카메라의 단점을 극복하고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해왔다.

 과연 미러리스 카메라가 DSLR의 진정한 후계자일지는 더 두고봐야할 듯하다.

미러리스 카메라, 이제 진화의 시작이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요즘 산행 사진에서 제가 쓰는 카메라가 2년여전 산 소니 NEX-F3K입니다.

 

관련글 : http://blog.daum.net/cwk0507/1022

 

 

이 미러리스 카메라의 장점

렌즈는 단 렌즈보다 여러 방면에서 사용이 용이한 18 ~55mm 표준 줌 렌즈를 장착했고.

무엇보다도 제일 마음에 들었던건 이미지 센서 크기가 DSLR과 동일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일반 똑딱이의 13배 크기 )

 

이미지 센서가 크면 뛰어난 아웃 포커싱 구현이 가능하고 어두운곳에서도 사진 찍기가 용이하죠!!!

 소니 NEX 시리즈( 5, 6, 7 )가 잘 팔리는 이유도 바로 이점 때문이었습니다.

동급의 타사(니콘, 올림푸스, 캐논.....) 제품도 이미지 센서가 소니만큼 크지는 않습니다.

작고 가볍고 화질 좋은....

디카로서의 모든 자격을 갖춘 카메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2년이 다되가는 시점에서의 평은

그때의 선택이 탁월한 선택이었던것 같습니다.

삼성이 가전 제품은 잘 만들지만

개인적인 평으로는 카메라만큼은 아직

일본을 못 따라 간다는 느낌입니다.

일본의 광학 산업은 독일을 제친듯 싶습니다.

 

반응형